1870 - 조선국 교제시말 내탐서
1876 - 조일 수호 조규 부록 체결 + 강화도 조약 부산항 개항
1877 - 태정관의 독도 무관 공포
1879 - 원산항 개항, 채응언 탄생
1882 -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
1883 - 조일 통상 장정, 인천항 개항, 원산학사(함경도덕원주민), 동문학(외국어), 한성순보(박문국)
1884 - 갑신정변으로 우편 중단
1885 - 전보총국 설치, 제중원 설치
1886 - 육영공원(외국인강사, 양반자제), 이화학당(스크랜턴), 천주교 포교인정(프랑스 수교)
1887 - 최초의 전등
1889 - 함경도,방곡령 선포
1895 - 학무아문,교육입국조서(신민..), 정동 제일 교회 건설 시작, 일청한군용정도
1896 - 서재필의 독립신문창간
1897 - 정동 제일교회 건설 완료, 목포항 진남포항
1898 - 황국 중앙 총상회, 만.관민공동회, 여권통문(여권 선언서), 전기회사,전등가설
1899 - 순성학교(한국여성 최초 여성 학교), 전차개통->경인철도 개통, 군산항 개항
1900 - 대한 제국 칙령 제41호 반포
1903 - 이범윤 간도관리사 임명
1904 - 보안회, 11월 백동화 주조 중단(전환국), 세브란스 병원, 대한매일신보
1905 - 헌정 연구회, 일본의 독도 불법 편입(시네마현 고시), 화폐 정리 사업(메가타), 경부선, 손병희. 동학 천도교 개편
1906 - 대한 자강회, 경의선
1907 - 신민회 -> 신문지법, 국채보상운동(대구,서상돈), 유년필독(초등교과서), 대한의원설립, 국문 연구소
1908 - 평양의 대성학교 설립, 동양척식 주식회사 설립, 사립 학교령(민족교육탄압)
1909 - 일.청 간도 협약, 나철의 대종교 창시
1910 - 한국 병합 조약 체결, 회사령 공포
1911 - 제 1차 조선 교육령, 105인 사건(안명근)
1912 - 토지조사령 반포, 임병찬의 독립의군부 조직
1914 - 영사재판권 폐지, 외국인 전용 거주지 철폐
1915 - 채응언 사망, 박상진의 대한광복회 조직
1917 - 대동단결 선언 - 신규식 긴채호 박용만 조소앙
1918 - 대한광복회 폐지, 신한 청년당(상하이) 김규식 파리강화회의
1919.2 - 도쿄 조선 기독교 청년회관(2.8 독립선언)
1919.3.1 - 민족대표33인 태화관, 탑골공원 *김경천일기 - 경운궁 대한문안까지 진고개의 일본인 거주지, 평.진남.안.선.의.원
1919.3.8 - 대구3.8만세시위
1919.3.10 - 광주 수피아여학교 - 윤형숙
1919.3.12 - 남만주 류허현 부민단 중심 수백명, 의성->성주-> 안동 -> 영덕
1919.3.13 - 간도 수만명
1919 - 연해주의 신한촌,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, 의열단 결성, 사이토 마코토 부임
1919.4 - 미국필라델피아의 서재필 주선 - 한인 자유 대회
1919.9 -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임시정부 수림
1920 - 산미증식계획 시작, 회사령 폐지
1921 - 워싱턴회의에 이승만 독립요구서
1922 - 이동휘 김규식 모스크바 극동인민대표회의
1923 - 국민 대표 회의
1925 - 이승만 대통령 탄핵, 치안 유지법
1926 - 조선총독부 완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