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6-1 근대 교육과 근대 의식의 확대 - 1학년 2학기 기말

코북미트 2024. 11. 26. 02:24
반응형

1883 - 원산학사, 동문학

1885 - 배재학당

1886 - 육영공원 , 이화학당

1895 - 교육입국조서

1902 - 하와이 이주(미주지역 이주 시작)

1907 - 유년필독

1908 - 사립학교령

 

 

 

개화운동과 개화정책

1. 근대교육

원산 학사 : 1883년 함경도 덕원 주민 최초의 근대적 교육기관 (사립)

 

동문학 : 외국어 교육기관 (관립)

 

육영 공원 : 1886년 외국인 교사 초빙, 상류층 자제 대상 근대학문

 

학무아문, 교육 입국 조서 : 갑오개혁시기, '너희는 신민의 학식으로써..'

 

한성 사범학교 : 교원 양성

 

소학교,외국어학교

 

배제학당(1885)  : 아펜젤러

이화학당(1886) : 스크랜턴 - 한국 최초 여성 교육기관

 

유년필독 : 1907년 저술된 초등학교 교과서, 국한문 혼용체, 역사지리 세계사정

 

사립학교령(1908) : 일본의 민족교육 탄압

 

 

2. 근대의식

갑신정변 : 개화당 - 인민평등 문벌폐지

동학농민운동 : 노비문서소각 차별개선 신분차별 반대

갑오개혁 : 군국기무처, 법적으로 신분제 폐지, 과부재가허용, 고문 연좌법 과거제 삭제, 근대적 학교 설립 -> 인재 등용 차별 제거

 

 

독립협회

만민공동회 - 최초의 근대적 민중대회

관민공동회 1898

신체의 자유, 재산권 보호, 언론집회의 자유

 

여성인권

한성 북촌 양반가 여성

황성신문과 독립신문 : 여권통문1898 : 한국 역사 최초의 여권 선언서

찬양회 - 최초의 여성 운동단체

순성학교 - 7~13세 교육 한국 여성이 세운 최초의 여학교

 

만주 연해주 이주

항일투쟁

 

1902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노동자

한인사회

 

 

 

 

반응형